[Thyroid; 갑상선] K-TIRADS(2) 갑상선 결절의 분류

안녕하세요 여러분 즐거운 명절 보내셨나요?휴가가 끝나감과 동시에 시작된 한파에 폭설에 정말 절망적인 심정입니다…………울기만 하고 싶습니다….똑똑아.지난번에는 KTIRDS 용어를 정리했는데요. 그중 Calcification에 대한 설명이 조금 부족하지 않았나 싶어서 Calcification을 이야기하고 K-TIRADS 분류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정상 갑상선 실질의 메아리보다 훨씬 높은 메아리에 보일 때 갑상선 석회화(Calcification)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2021년 KTIRADS개정판에는 이 갑상선 석회화를 양상으로 4가지로 분류합니다. 여기서 Calcification이라는 용어는 Echogenic foci로그 속에서도 Microcalcification은 Punctate echogenic foci로 대체되고 있어요. 그러니까,*Echogenic foci(=Calcification)1. Punctate echogenic foci(=PEF, Microcalcification)≤ 1mm2. Macrocalcification≥ 1mm3. Rim calcification(complete or incomplete)4. Intracystic echogenic foci with comet-tail artifact이렇게요.다른 용어로 대체된 부분에 빨간색 사각형으로 표시해봤습니다. 조금 더 눈에 들어오죠? 자, 그럼 석회화에 대한 이야기까지 끝났으니까 KTIRADS 분류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처 :::KJR::대한방사선의학회지(kjronline.org)KTIRADS 5부터 내림차순으로 내려가 구분해 봅시다. – K-TIRADS 5 (High suspicion) : 악성확률 > 60% ; Solidhypoechoic (고체성분 조에코) + 3 Suspicious US features (Punctate echogenic foci, Non-parallelorientation, Irregular margin) 중 하나 이상.Non-parallel shape spiculated margin hypoechoic solid component nodule의 영상인데요. 굳이 측정한 길의 값이 적지 않아도 눈으로 봐도 상하로 측정한 길의 값이 길거든요?물론 정확히 측정은 해야 합니다. 상하로 측정한 길이의 값이 조금이라도 긴 경우, Non-parallel이라고 합니다. Longitudinal, Transverse의 어느 section에서만 Non-parallel소견이 보여도 Non-parallel입니다. 다음은 실질과 경계인 Margin입니다. 빨강 화살표로 표시한 결절과 실질의 경계 부분을 돋보기 기능을 사용하고 확대시키고 보았습니다. 표죠크표크한 느낌이 들어요? 잘 모르면 KTIRADS2의 영상과 비교해서 봅니다.결절이 위아래로 늘어나지 않고 누워있죠? 내부 성분도 고체 성분이 아닙니다. 결절 내부에 echogenic foci가 있는데 comettail artifact를 가지기 때문에 K-TIRADS 분류표에서 2단계 카테고리에 들어가는 결절입니다. 마찬가지로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한 결절의 경계 부분을 확대해 보았습니다. 검은색 물감이 가득 묻은 붓으로 예쁘게 색칠한 것 같은 느낌이 들죠?경계가 아주 명확해요. Oval shape smooth margin입니다. 그럼 다시 한번 KTIRADS 5에 가보겠습니다.결절이 위아래로 늘어나지 않고 누워있죠? 내부 성분도 고체 성분이 아닙니다. 결절 내부에 echogenic foci가 있는데 comettail artifact를 가지기 때문에 K-TIRADS 분류표에서 2단계 카테고리에 들어가는 결절입니다. 마찬가지로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한 결절의 경계 부분을 확대해 보았습니다. 검은색 물감이 가득 묻은 붓으로 예쁘게 색칠한 것 같은 느낌이 들죠?경계가 아주 명확해요. Oval shape smooth margin입니다. 그럼 다시 한번 KTIRADS 5에 가보겠습니다.이제 경계를 화살표로 표시하지 않아도 알겠죠? Spiculated margin은 전형적으로 악성결절에서 볼 수 있는 경계인데 그 외에도 Lobulated margin 혹은 경계를 특정하지 못하는 결절도 있습니다.이런 영상이 Lobulated에 가깝다고 말할 수 있겠지요 모코모코라는 형용사는 악성 결절을 표현하는데 사용이 너무 너무 귀여워서 울퉁불퉁하다? 이 정도의 단어가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상기의 영상의 결절은 내부가 너무 검습니다만, anechoic(무 친환경)은 아닙니다. 영상의 맨 위의 피부 층 아래의 검은 조직이 근육 층입니다. 이 근육 같은 echo를 가진 경우 Marked hypoechoic라고 합니다. 이 Marked hypoechoic도 악성에 임박했음을 시사하는 신호입니다.–K-TIRADS 4(Intermediate suspicion):악성 확률 10~40%① Just Solid hypoechoic. ② Partially cystic or Iso/hyperchoic+3 Suspicious US features중 하나 이상 포함. ③ ③ Entirely calcified nodules.확실히 고체 성분으로, hypoechoic(자 친환경)결절은 그 자체가 K-TIRADS4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정상적 실질과 비슷하거나 다소 밝은 에코를 가진 결절은 Iso/hyperechoic(동등한 에코, 고 친환경)결절 자체가 완벽한 악성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지만 모양이 나쁜 경우는 화제가 바뀝니다. 그래서 그 겉모양에서 어떤 카테고리에 들어가지 정해지게 됩니다. 이 문장을 설명한 것입니다. ->>Partially cystic or Iso/hyperchoic+3 Suspicious US features중 하나 이상 포함. 갑상선 리포트를 쓸 때 왜 shape과 margin을 먼저 언급하는 것인지 아시죠?그만큼 모양과 경계가 악성과 양성을 구분하는 중요한 신호라는 이유 때문이지요. 그리고 석회화 결절도 이 카테고리에 속합니다. Rim Calcification은 결절을 끝이 얇은 석회화로 둘러싸인 모습이 꼭 가죽이 알을 감싸는 형태라는 점에서 Peripheral, eggshell calcification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얇은 석회화가 결절을 완전히 에워싸고 있는지, 아니면 부분적으로 듬성듬성 에워싸고 있는지, K-TIRADS4로 분류합니다.–K-TIRADS 3(Low suspicion):악성 확률 3~10%;Partially cystic or Iso/hyperechoic부분적으로 낭종화되어 있거나, 동등한 에코 또는 고 이기주의의 결절입니다. 악성의 가능성이 높은 결절을 보고 내려오면 상대적으로 부드럽게 보이지 않나요? 제 생각입니다.^^;;;^^;;;-K-TIRADS 2(Benign):악성 확률<3%① Spoingiform nodule. ② Pure cyst. ③ Partially cystic nodule with intracystic echogenic foci and comet-tail artifact.스펀지 형태의 결절 그리고 comet tail artifact를 가진 foci가 낭종인 내부에 존재하는 결절(Colloid cyst), 완벽한 낭종성 결절(Pure cyst)이 K-TIRADS 2에 해당하여 Benign(양성)으로 보고합니다. 아무리 커도 낭종은 낭종에 불과합니다. 크다고 당황하지 마세요. – K-TIRADS 1 (No nodule) : 갑상선 조직 내 결절이 없는 상태결절이 하나도 없는 깨끗한 갑상선 실질 모습입니다. K-TIRADS1은 Normal thyroid 혹은 정상이라고 보고하고 따로 K-TIRADS 카테고리를 적지 않는 것이 대부분입니다.갑상선 결절은 고체 성분을 많이 가질수록, 저 에코일수록, 실질과의 경계가 불분명할 정도로, 가로보다 세로로 측정한 값이 길수록 미세 석회화가 동반될 경우 악성에 가깝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가 올린 영상에는 없지만 가끔 피막을 침범하는 형태의 결절도 있습니다. Extra capsular 라고 합니다.영상이 없어서 그려봤어요. ^^;; 노란색 선이 갑상선 피막이라고 하면 그 피막을 침범해서 결절이 위치하는 경우입니다. 검은 동그라미가 결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것도 악성을 시사하는 신호이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면 안 됩니다. 오늘은 갑상선 결절의 K-TIRADS 분류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KTIRADS 분류법이 명확하게 명시돼 있음에도 갑상선 결절은 다양한 형태와 형태가 있기 때문에 어떤 카테고리에 넣어야 할지 조직검사를 권해야 할지 고민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아무래도 많은 케이스를 보는게 가장 도움이 되겠죠?다들 열심히 공부합시다~~~~#갑상선결절 #갑상선초음파 #갑상선암 #갑상선조직검사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