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라우터(GIGAWIFIHOME) 포트 포워딩

  1. Local 서버 구축/Windows+ Apache PHP MySQL(Bitnami) – 외부에서 연결하기 : phpinfo 표시(by 포트 포워딩)
  2. 이번에는 포트 포워딩을 이용해서 외부 네트워크부터 접속해보려고 해.공인IP와 사설IPIP 주소는 공인IP와 사설IP로 나뉜다.공인 IP는 전 세계에서 고유한 IP이다. 그래서 다른 PC의 공인 IP를 알면 그 PC에 접속할 수 있다.다만 모든 PC와 스마트폰, IoT 기기 등에 공인 IP가 부여되면 IP 주소가 고갈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외부 IP 주소를 공유기가 받고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에 사설 IP가 부여된다.
  3. 이 경우, 동일한 라우터로 연결된 네트워크 내에서는 사설 IP를 입력하여 서로의 기기에 접속할 수 있으나, 그 라우터에 연결되지 않은 PC에서 라우터에 연결된 기기에 접속할 때에는 사설 IP를 입력하면 접속할 수 없다.
  4. 그래서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설 IP를 부여받은 내 서버에 접속할 때 하는 게 바로 포트 포워딩이다.공인 IP를 이용하여 포트를 지정해 놓고 해당 포트에 접근하게 되면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공유기 IP의 지정 포트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공인 IP 주소가 222.112.33.188이라고 하면 외부에서 222.112.33.188 IP 주소로 접속해야 한다.이 IP 주소 안에 라우터에서 나오는 사설 IP 주소가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폰으로 연결하면 172.30.1 노트북으로 연결하면 172.30.1.2 태블릿으로 연결하면 172.30.1.3처럼 주소가 여러 개로 나뉘게 된다.

이 중 현재 사용하고 있는 웹 서버를 접속하기 위해 172.30.1.2라는 사설 IP의 8080포트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172.30.1.2:8080에 접속해야 한다.

공인 IP에 포트 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정해둔 공유기 IP가 원하는 포트 번호로 이동하게 된다.

포트 포워딩을 한 후 외부 네트워크에서 공인 IP: 포트 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다. 지금부터 KT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KT 라우터(Giga Wifi Home) 포트 포워딩 윈도우 기준

  1.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다.

2. ipconfig 명령을 실행한다.

유선랜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이더넷 어댑터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하고 무선랜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무선랜 어댑터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한다.

3. 웹 브라우저에서 게이트웨이 주소로 접속한다. 그러면 라우터 설정 페이지가 나온다.

처음 접속되는 경우, ID와 패스워드는 다음과 같다.ID : ktuser 비밀번호 : homehub

4. 로그인 후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한다.

5. 로그인하면 공인 IP나 DNS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공인 IP 주소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6. 디바이스 설정 – 트래픽 관리 – 포트 포워딩 설정

소스 IP 주소 : 생략 소스 포트 : 생략 외부 포트 : 외부에서 접속시 입력하는 포트 번호 내부 IP 주소 : 서버로 사용하는 기기의 사설 IP 주소 내부 포트 : 서버로 사용하는 기기에서 열어둔 포트 번호 설명 : 해당 포트 포워딩에 대한 설명

작성 후 추가 클릭

외부 포트와 내부 포트가 다른 경우

7. 이에 따라, 포트 포워딩이 완료되어 외부에서 공인 IP: 포트 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다.

포트포워딩이 정상적으로 완료됐는지를 확인하려면 단지 휴대폰의 와이파이를 끈 후 데이터 상태에서 222.112.33.188:8080과 같은 외부 IP 주소로 포트포워딩한 포트번호를 추가한 주소를 입력하고 내부 IP의 웹서버에 접근하면 정상적으로 적용된 것이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