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예능 프로그램 <백지>에 깊은 우려를 표합니다.

지난 8월 26일 방송된 JTBC 예능 프로그램 ‘백기지’에 깊은 우려를 표합니다.

유기견을 키운다는 게 참 대단한 것 같다. 정말 솔직한 말로 강아지 선생님들, 전문가들은 개를 키우고 싶은 사람들에게 유기견을 절대 추천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유기견이 한번 상처받고 사람에게 익숙해지는데 너무 오래 걸리면 개를 모르는 사람이 사람도 상처받고 개 또한 상처받고.”

이 프로그램은 유기견 입양 사연을 소개하면서 “전문가는 절대 유기견을 추천하지 않는다”며 마치 유기견을 돌려보내기 어려운 동물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발언이 그대로 방송됐습니다.

카라 같은 시민단체를 비롯해 수많은 후원자, 봉사자, 그리고 시민들이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라는 구호를 외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가게에서 전시되는 동물들이 어떻게 ‘생산’되어 경매장에 부착되어 판매되는지, 또 번식장(개공장/고양이공장)에 남은 동물들의 고통이 얼마나 무서운지를 알기 때문입니다.

유기견에 대한 잘못된 인식(건강하지 않음/행동 문제가 있음/트라우마가 있음)을 바꾸기 위해 많은 사람이 노력하는 한편 유명인의 한마디가 유기견에 대한 편견을 강화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많은 대중의 인식이 방송을 보고 만들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방송과 패널의 힘은 강합니다.

유기동물은 각각 개별성을 가진 생명으로 성격도 건강 상태도 다릅니다. 사람이 어떻게 보호하느냐에 따라 친화적이고 주름 없는 건강한 동물이 될 수도 있고, 그 동물의 성격이나 기질에 따라 몇 년이 걸려야 마음을 열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제는 ‘유기견은~한다’고 재단하는 것 자체가 동물을 대상화하고 물건처럼 취급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출연진이 오해의 소지가 있는 발언을 하거나 사실관계가 불분명한 발언을 할 경우 제작진은 현장에서 댓글을 보완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것을 편집하여 송출해서는 안 됩니다.

유기동물들은 법률의 약점과 함께 방송에서 만들어지는 프레임으로 더욱 사각지대로 내몰리곤 합니다. 카라는 ‘백기지’ 제작진에게 깊은 우려를 표하며 방송이 시대 흐름에 역행하지 않고 좋은 영향력을 만드는 방향으로 선회하기를 바랍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