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다. 2040대 대다수는 젊음을 과신하고 고혈압 치료에 무관심한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스트레스, 술, 담배 과다 노출 … 많은 사람이 ‘과신하고 치료 방치’, ‘나이불문 혈압 관리해야 한다’며 혈압 135/85mmHg을 넘을 것으로 의심한다
A 씨(35)는 이달 초 서울의 모 대학병원 응급실로 급히 실려 갔다.당시 그의 혈압은 182/120mmHg로 높은 수준이었다.흉부 X선 영상으로 심장이 커지고 있어 폐에 물이 차는 폐부종 소견도 볼 수 있었다.
의료진에 따르면 A씨는 5년 전부터 혈압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특별한 증상이 없어 별다른 관리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그가 평소 혈압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했던 이유는 다분했다.부모 모두 고혈압이었고 아버지는 심근경색 병력도 있었다.영업을 하는 박씨는 일주일에 4~5일은 음주와 회식을 하며 몸을 혹사했다.주말에는 피곤해서 집에서 가만히 쉬거나 티비를 보거나.인터넷을 하면서 시간을 보냈다.운동은 거의 하지 않았다.
젊음을 과신하고 고혈압을 방치한 대가는 컸다.입원 후 검사에서 심장 비대, 심주전(심장기능 저하), 단백뇨, 신장기능 손상 등 심한 고혈압 합병증이 확인됐다.담당의사는 혈압이 높으면 무슨 일이 생길 수 있지만 고혈압은 심근경색, 뇌출혈 등 치명적 질환의 가중 중요한 위험 요인이라고 말했다.다행히 A씨는 5~6가지의 혈압약을 복용하고 혈압이 조절돼 심장기능을 어느 정도 회복한 상태다.
2018년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국내 만 30세 이상 3명 중 1명(유병률 28.3%)으로 고혈압을 갖고 있다.유병자는 1100만 명을 넘어섰다.
고혈압은 일반적으로 노년층의 전유물로 여겨지지만 최근 30.40대는 물론 20대에서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30대의 고혈압 유병률은 11.7%, 40대는 20.6%에 달했다.국민건강통계에서 20대 고혈압 유병률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대한고혈압협회가 산출한 결과 약 12%로 파악됐다.50대(34.7%) 60대(46.0%) 70대 이상(70.2%)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지만 젊은 층 환자가 생각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고혈압 유병률과 인지율
연령별 고혈압 유병률과 인지율 고혈압은 조기 진단하고 약물치료와 함께 건강한 생활습관만 유지하면 관리가 어렵지 않다.문제는 많은 젊은 환자가 자신이 고혈압이라는 사실을 모르는데도 약에 대한 부담감과 젊다는 자신감을 이유로 방치하고 있다는 점이다.실제로 30대와 40대의 고혈압 인지율은 가정마다 19.8%, 44.8%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치료율도 30대 16.9%, 40대는 38.2%에 불과했다.전체 고혈압 인지율(69.1%)이나 치료율(65.3%)보다 현저히 낮았다.
젊어서 큰 병이 없어 병원에 가거나 혈압을 재는 일이 별로 없고 고혈압이 있어도 괜찮을 것이라는 안이한 생각과 혈압약을 한번 복용하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젊은층은 주위 환경조차 고혈압에 취약하다.활발한 경제활동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피로, 술.담배 등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있다.송일석 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는 18일 “20~40대는 치료를 소홀히 해 질병에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다”며 “게다가 바쁜 경제활동 때문에 스트레스와 피로가 쌓이면서도 운동은 어렵고 병원에 잘 가지 않는 것이 문제가 된다”고 지적했다.
충북대병원 조명찬 교수도 아무리 언론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위험하다고 해도 마스크 없이 클럽에 가는 젊은이들이 있는 것 아니냐.그들을 통한 무증상경증 전파가 두렵듯 고혈압도 소리 없이 심장과 뇌혈관을 다쳐 목숨까지 앗아갈 수 있다.젊음을 맹신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대한고혈압학회는 세계 고혈압의 날(17일)이 있는 5월을 혈압 측정의 달로 정하고 특별히 젊은 고혈압을 찾아라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코로나19의 유행으로 직접 혈압을 측정하는 이벤트 대신 SNS와 블로그에서 자신의 혈압 측정 모습과 혈압 수치를 찍어 올리는 인증샷 챌린지와 UCC 공모전을 진행하고 있다.▲증상없음=젊은층의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고혈압은 병원과 가정혈압 측정기준이 약간의 차이가 있다.진료실에서는 140mm~90mmHg의 이사라면 진단하지만, 집. 사무실 등 병원 밖에서 재면 135/85mmHg이상이면 해당된다.
고혈압은 혈관의 압력이 높은 것 외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고혈압이 생기는 직접적인 원인 파악도 쉽지 않아 왜 위험한지 모르는 젊은이가 많다.그러나 고혈압은 나이에 상관없이 기간이 길어지면 심장뇌혈관질환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젊다고 해도 적극적인 혈압 관리가 중요한 이유다.치료를 외면하고 나쁜 생활습관이 더해지면 특별한 증상이 없는데도 심근경색이나 뇌경색,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송 교수는 “실제로 응급실에 온 젊은 심장뇌혈관 질환자 중 자신이 고혈압 진단을 모르거나 알면서도 이런저런 이유로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고 말했다.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다.노년층이 될수록 치료도 잘 받고 조절도 잘 돼 합병증이 천천히 일어나거나 약한 반면 젊은층은 치료를 소홀히 하다 갑자기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따라서 자신이 고혈압으로 밝혀지면 나이를 불문하고 끊임없이 혈압 관리를 해야 한다.특히 가족 중에 심장뇌혈관 질환 병력이 있거나 회사 또는 가정에서 일정한 간격 혹은 일주일에 적어도 1회 이상 측정한 혈압이 계속 135mm/85mmHg을 넘을 경우 고혈압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고혈압 예방 수칙
고혈압 예방수칙 <자료 : 대한고혈아학회, 강동경희대병원>
고혈압 치료와 예방을 위해서는 혈압을 낮추는 약물요법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위험인자인 나쁜 생활습관 개선이 우선이다.건강한 식단(저염식 육류를 피하고 채소 중심), 적극적인 유산소 운동, 체중 감량, 금연, 절주 등이 동반돼야 한다.
조 교수는 젊은 고혈압 환자가 치료약을 외면하는 큰 이유는 증상이 없어 약을 먹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거나 고혈압 약을 평생 먹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이지만 우려와 달리 고혈압 진단 후 무조건 약을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생활습관 개선이 초기 치료의 기본이고 그래도 혈압 조절이 안 되면 약물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스·술·담배 과다 노출…한국인 상당수는 ‘나이 불문하고 혈압 관리’와 상관없이 혈압 관리를 계속해야 하는 혈압 135mm/85mm·Hg를 넘는 것으로 의심되는 A(35)씨는 이달 초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 응급실로 긴급 후송됐다. 당시의 그의 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