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교육과정과 고교학점제의 평가기준의 변화

다음은 생기부에 구체적으로 수리력을 어떻게 나타내고 디지털 리터러시를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2022년 개정 교육 과정 평가 기준을 알아보려고 2022년 개정 교육 과정의 핵심 역량의 변화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2015개정 교육 과정에서 교과와 창의적 체험 활동, 그리고 학교 생활 전반에 걸쳐서 학생의 실제적인 생활 속에서 뭔가가을 실질적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처음으로 역량을 제시했습니다. 2022년 개정 교육 과정에서 현행 교육 과정에 제시된 역량의 큰 틀을 유지하고 우리 교육이 지향하는 가치와 교과 교육 방향과 성격 등을 토대로 변동성·불확실성·복잡성이 특징인 미래 사회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역량을 체계화했습니다. 총론에는 “자기 관리 역량”,”지식 정보 처리 역량”,”창의적 사고 역량”,”심미적 감성 역량”,”협력적 소통 역량*”,”공동 체력량”의 핵심 역량 6개를 제시했습니다.*(개선)복잡화·다양화하는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 상호 협력성 및 공동체성 강조 때문에 현행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협력적 소통 역량”으로 개선 총론의 핵심 역량과 연계시키고 교과 역량을 목표로 구체화하고-교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궁극적으로 교과 역량을 육성할 수 있도록 개선했습니다.

그럼 핵심역량인 언어, 수리, 디지털 소양은 어떻게 반영되었나요?

다양한 교과를 학습하는 데 기반이 되는 언어, 수리, 디지털 소양 등을 기초 소양으로 총론에서 강조하고 교과에 반영하였습니다.모든 학생이 공부의 기초인 언어·수리·디지털 기초 소양을 갖추고 학교 교육과 평생 학습에서 학습을 지속할 능력을 육성하기 위해서 교과의 깊이의 학습에 기반이 되는 언어·수리·디지털 기초 소양을 모든 교과를 통해서 육성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한다.거기에서 초·중학교의 전 과정에서 교과 학습과 실생활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언어, 수리, 디지털 소양에 대한 지식과 기능을 적용·활용하도록 구성하고 개선했습니다. <언어 소양>언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호, 양식, 매체 등을 활용한 텍스트를 대상, 목적, 맥락에 맞추어 이해하고 생산·공유, 사용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 구성원과 소통하고 참여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과 반영 예로서는, 교과별 관련 텍스트를 해석하고 분석, 논증적 작문·과목별 문자, 시각적 텍스트들 구상, 학습을 위한 작문 등·교과별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소통 등이 있습니다.

<수리소양> 다양한 상황에서 수리적 정보와 표현 및 사고방법을 이해, 해석, 사용하여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과 반영 예로는 통화정책, 재정분석 및 이해, 교과별로 관련 수를 어림잡아 계산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디지털 소양> 디지털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이해와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비판적으로 이해·평가하고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생산·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 지리정보 및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뉴미디어 등의 정보수집 및 비판적 분석 등 교과관련 정보탐색, 데이터수집·검증, 자료관리 등 교과별 정보윤리, 개인정보보안 등 준수 등

<디지털 소양> 디지털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이해와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비판적으로 이해·평가하고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생산·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 지리정보 및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뉴미디어 등의 정보수집 및 비판적 분석 등 교과관련 정보탐색, 데이터수집·검증, 자료관리 등 교과별 정보윤리, 개인정보보안 등 준수 등

다음은 생기부에 구체적으로 수리력을 어떻게 나타내고 디지털 리터러시를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다음은 생기부에 구체적으로 수리력을 어떻게 나타내고 디지털 리터러시를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