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팬 증후군의 원인과 치료 방법은?

피터팬 증후군의 정의

© simbakoong, 출처 Unsplash 네버랜드에 사는 피터팬 다들 아시죠? 요즘 피터팬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많이 쓰이고 있어요. ‘금척상담소’에서 굵은 사자 김현중이 나와서 오은영 박사님께 고민 상담을 받았습니다. 태사자 멤버 김현중은 46세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부모님께 용돈을 받는 삶을 살고 있다고 합니다. 피 바로 사회적으로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할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태사자 멤버인 김현중처럼 누군가에게 의지해 살아가는 삶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피터팬 증후군이란 성인이 됐지만 책임져야 하는 현실을 도피하기 위해 스스로 어른임을 인정하지 않은 채 타인에게 의존하고 싶어하는 ‘심리적 취약 상태’를 의미합니다. ‘심리적 취약 상태’라는 것은 어른이 될수록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이 선택한 결정에 대해 책임지고 살아가야 하지만 책임지기를 거부하고 아이와 같은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니닉바라츠켈리아_, 출처 픽사베이 피터팬 증후군 발생 원인 피터팬 증후군이 발생하는 이유는 인간은 발달 시기마다 성숙을 위해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달성하고 내적인 힘을 만들어 갑니다. 그러나 각 발달 시기마다 개발해 나가야 할 힘을 기를 수 없고, 항상 타인에게 의존하여 책임을 전가하려는 경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헤이리자트, 출처 픽사베이 01. 경기침체와 급속한 사회적 변화 경기침체와 함께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무한경쟁의 시대가 지속됨에 따라 사회에서 개인에게 기대하는 부분이 이전보다 많아졌습니다. 게다가 유래 없이 풍요로운 시대를 맞이하여 살고 있으며, 앞으로 많은 기대를 받으며 교육받고 살아왔지만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내면의 힘을 키우지는 못했습니다. 즉 나이만 성인이고 마음은 아이인데 갑자기 많은 걸 해내라고 하면 모든 걸 회피하고 싶은 거죠.

© alexblock, 출처 Unsplash02. 어린 시절 모든 것을 쉽게 얻은 결과 프로이트는 인간이 성장 과정인 한 시기에 발달이 정지되어 있는 것을 ‘고착’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고착이 일어나는 이유로 원하는 것을 너무 쉽게 얻거나 지나치게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가 극단적일 경우 인간은 고착화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른이 되어서도 항상 아이처럼 화를 내고 삐지고 안 된다고 쉽게 말하고 상황이 자신에게 불리해지면 울어버리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거죠.

© 젠테도어, 출처 언스플래시 03. 양육자와의 건강하지 못한 상호작용 대상 관계 심리학자 도널드 위니컷은 우리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관계를 맺는 사람과 자신을 보호하고 무럭무럭 자라도록 이끄는 환경을 제공하는 양육자와 건강한 상호작용을 강조했습니다. 부모는 완벽하지 않아도 되고 부모는 자녀에게 적절한 충족과 통제, 자극을 주는 환경이 되는 충분히 좋은 엄마라는 개념을 제시했다고 합니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하지만 조여 걸과 고통도 알게 해야 합니다. 그 좌절과 고통을 통해 자신이 최선을 다하는 아이로 성장해야 합니다. 따라서 아이는 어느 정도 좌절을 겪으면서 성장해야 진정한 어른으로 자랄 수 있습니다.

© sigmund, 출처 Unsplash 피터팬 증후군 이론과 특징

© Major001, 출처 Unsplash 미국의 임상심리학자 댄 카일리 학자가 만든 용어로 몸은 어른이 됐지만 어린아이처럼 행동하는 어른을 ‘피터팬 증후군’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누구나 알다시피 피터팬은 동화 속에 나오는 인물로 몸은 커졌지만 마음은 연약하고 순진하며 현실 도피적인 캐릭터입니다. 카일리는 1970년대 여성의 인권 신장과 그로 인한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남성의 사회적 위치가 약해지고 여성에게 의지하는 남성이 많아지면서 피터팬 증후군과 같은 현상이 많이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지금 ‘피터팬 증후군’의 특징은 남성이 여성을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성인이 지나치게 누군가를 의지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한국에서는 1997년 IMF 위기로 대학을 졸업하지 않은 학생이 늘었고, 대학을 졸업한 후에 대학원에 다시 진학하는 경우도 늘었습니다. 그러자 일을 하지 않고 부모에게 등록금과 용돈을 받으며 살아가는 아이들을 캥거루족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사람을 의지하는 피터팬 증후군의 특징은 높은 이상을 가지면서도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지 않으려 합니다. 또한 자신의 잘못을 받아들이고 고치려는 노력은 하지 않습니다. 또 자신이 책임지고 기대에 부응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남을 탓하거나 책임을 회피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01.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는 이유, 상위 인지결핍

© ryantauss, 출처 Unsplash “상위 인지”는 자신의 생각에 대한 생각으로 자신이 하는 생각이나 모습이 어떤 모습인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예를 들어 ‘상위인지’ 능력이 있는 사람은 자신이 어떤 약속을 하고 그것을 지키지 못했을 때 다른 사람이 자신 때문에 피해를 입거나 실망감을 낳으면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다음에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을 필요로 하는 태도를 ‘상위인지’라고 봅니다. 즉, 과거의 경험이 실패할 경우 같은 일을 반복하지 않도록 노력합니다. 하지만 피터팬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과거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할 수 있다며 호언장담하고 있습니다. 이런 행동을 하는 것은 상위 인지도가 낮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피터팬 증후군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실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할 수 있다고 장담하고 있습니다.

02. 이상이 높으면 실행력은 약하다.

© 킨텍스, 출처 언스플래시 이상은 높고 낮은 실행력이 ‘피터팬 증후군’의 특징이다, 이들은 이상이 높지만 그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포기하거나 할 일을 하지 않는다.그래서 현실과 불협화음을 낸다. 그래서인지 피터팬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만의 세계에 몰두한다. 삭막한 현실보다 자신이 상상하는 세상이 자신에게 더 편안함을 주기 때문이다.

03. 결단력 부족으로 결정을 미루다.

© mathidelmd, 출처 Unsplash 피터팬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자신이 결정하기보다 누군가가 설정한 방식을 선택한다. 때로는 선택이 어렵고 뒤로 미루기도 한다. 자신의 선택을 책임질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신의 결정을 미루면서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에 불만이 많다.

피터팬 이론의 시사점과 대처방안

© birdlg, 출처 Unsplash 내가 좋아하는 말 중에 30대를 “이립”이라고 하는데, 그 뜻은 “마음아 똑바로 서서 움직이지 않는다” 즉 내 길에 뜻을 세우는 시기를 말하며, 40대를 불혹이라고 하고, 그 뜻은 “세상 일에 정신이 팔려서 판단을 흐리게 하는 일이 없다” 즉 세상 일에 동요하지 않는다는 말을 좋아합니다. 이렇게 나이가 들수록 사람의 마음은 점점 단단해지고 세상 이치에 밝아져야 합니다. 하지만 요즘 40대는 세상에 여전히 흔들리고 있는 경우를 많이 보는 것 같습니다. 특히 40대 사람들이 젊게 산다고 해서 젊은이들의 패션을 따라하고 젊은이들이 술집, 맛집 등을 다닙니다. 그것도 당연한 게 이제 100세 시대일 뿐만 아니라 이전보다 나이에 대한 개념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또 젊게 살아야 세상에서도 인정받는 분위기이기 때문에 40대 이상의 남자들이 살아남기 위해서 성형수술도 한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40대 하면 인생의 하프타임입니다. 즉 중년이라는 인생을 살아가는 나이가 된 것입니다.

© aliata97, 출처 Unsplash인데 40대가 된 남성들이 10대와 채팅을 하면서 조건부로 만나거나 PC방을 다니면서 온라인 게임을 하거나 부모님에게 용돈을 받으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점차 늘고 있습니다. 이런 모든 증상이 ‘피터팬 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피터팬 증후군’은 신체적으로 이상 신호가 나타나는 질병이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심각하게 이상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원활한 사회생활이 어렵고 대인관계에도 큰 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피터팬 증후군’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우울증, 공황장애, 정실질환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 suh 5pence, 출처 Unsplash에 따라 ‘피터팬 증후군’을 극복하는 것이 향후 더 큰 질병을 막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피터팬 증후군’이 의심된다면 아이로부터 벗어나 정신적으로 성숙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작은 부분부터 고쳐나가면서 그 안에서 성취감을 갖고 자립심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혼자 하기 어렵다면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함께 고쳐나가는 방법도 고려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