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상복합 화재진압 과정 개선점 [김영배 국정감사]<울산> 울산소방,

울산소방, 주상복합 화재진압 과정 개선점

  1. 개요 울산 남구 달동) 삼환 아르누보에서 발생한 화재와 관련하여 큰 불에도 불구하고 인명피해가 없어 소방의 대응은 이전보다 많이 좋아진 점.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재 진압 과정을 돌이켜보면 개선점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초기 진압 과정에서의 문제와 함께 울산소방 장비 보강 등의 부분까지 국감을 계기로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2. 2. 문제점o의 초기대응 1단계 상황에서의 문제점(녹취록과 매뉴얼 기준)-소방청에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당시 10월 6일 23시 14분 울산광역시 남구 달동) 삼환아르누보 1203호 에어컨에서 연기가 났다는 신고가 최초로 접수되었다. 또 2분 뒤 아1103호 입주민들이 위에서 연기가 내려 다시 신고할 것소방청 당초 30분에 출동 과정 무선 녹취록을 보면 23시 16분 19초에 울산상황실에서 출동 지령이 내려질 것으로 신고 2분 후 지령이 전파 – 이어져 인근 센터에서 출동이 시작되고 현장에는 23시 19분 54초에 도착. 도착 시간까지는 이상이 없었던 것·무선의 교신에 의하면, 최초의 발화점을 인지한 시각은 23시 33분 58초인 것. 신고 후 약 19분이 걸렸고 현장 도착 후에도 17분이 지난 상황일 것-그때까지 화재가 그렇게 번지지는 않았을 것. 고층건물 화재 특성상 화점을 찾기 어려워 신고접수가 12층과 11층에서 이뤄졌고 해당 지점의 확인이 우선된 것도 있을 것 소방현장 대응절차, 매뉴얼대로 이뤄진 부분이 있을 것 2.1 선착대장은 방재센터에서 화점충 요구 여부, 소방설비 작동상황, 자위소방대 활동상황, 건물 내부구조 등 확인-그렇지만 소방 대응이 완벽했다. 먼저 도착 후 신고층 등에 현장 확인 등이 매뉴얼대로 이루어졌지만, 포화점을 찾지 못한 상황에서 초기 15분 위에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색을 진행하면 건물 전체에 화염이 넓어지는 상황을 막기는 있었다고 판단-이영주 소방 방재 학과 서울 시립대 교수는 울산 화재 진압 과정에 대해서 의견을 제시한 한 빨리 구조대가 도착했지만 화점을 정확히 잡지 못한 부분은 지적 가능- 하지만, 복합 아파트 구조상 화염이 직접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고치는 것은 쉽지 않은 부분이다-처음 신고 접수가 12층 8층의 집중, 신고가 거기 중심으로 확인되면서 화점 찾는데 시간이 걸리고-신고 들어온 곳을 중심으로 찾아보니 화점을 빨리 찾을 수 료웅이 인정-10분 걸린 게 아닌가?->가구별 층별로 확인하는 건물 구조특성상 일반적인 부분:글쎄, 소방에서 잘한 것도 볼 수 없고, 일반적으로 조치 정도-하나 더, 소방에서 무선 내용 보면 11시 32분쯤에 33분, 34분쯤에 3층 테라스 포화점 확인해서, 이건 밖에서 보고 신고가 들어온 시기와 일치-일찍 돌아왔는데, 막상 밖에서 본 일반인과 별차이가 없었던 건 맞아.
  3. o 무선교신 장비 문제-녹취록을 보면 대응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무선교신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23시 22분 19초에도 무선교신이 끊겼다는 소식이 있고, 현장 지휘소와 본부의 교신도 중단되는 상황이 이어지고, 무선 재송풍 등의 이야기도 표시되는 것. 결국 유기적인 상황 공유를 통해 화재 진압에 나서야 하는 상황에서 무선교신 자체가 어려워 소통이 안 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소방 무선장비 문제는 2017년 제천, 화재 당시에도 나타났다는 것. 당시 무선장비 문제로 현장 대원들은 카카오톡, 단톡방 등으로 현장 상황을 공유하곤 했다. 결국, 복합재해로, 만일 통신망 자체의 붕괴가 행해진 상황을 가정한다면, 무선교신이 잘 되지 않았을 경우 아무런 상황 판단을 상호간에 하지 않는 상황이 생기게 되는 것.

3. 정책대안 – 울산소방 중점관리대상건물에 대한 훈련강화 – 울산소방은 현재 260개의 중점관리대상건물을 선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 중 한 곳이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삼황 아르누보 건물이다.2020년 중점관리 대상 현황

총계 유흥주점 영화상영관 판매시설 숙박시설 병원 공장 창고 위험물 복합건축물 고층건축물 노유수 기타 총계 26015231419108231425

우발적 화재 상황에 대해 완벽하게 대응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중점관리 대상 건물에 대해서는 소방점검뿐 아니라 방재훈련, 대응훈련 등의 횟수를 늘려야 하고 건물 상황을 화재 이후 현장에서 판단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나리오를 마련해 대비해야 한다.

o 무선장비에 대한 교환검토- 무선장비에 대해서도 단순히 교신불량 상황만을 지적할 것이 아니라 향후 통신재해 등의 상황에서 소방무선망이 핵심 소통수단이며 유일한 상황유지 도구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하여 오류나 불량 또는 연결성능 저하 등이 나타나지 않도록 화재진압 과정에서의 문제를 복기하고 재발방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중앙일보 ‘울산 70m 고가 굴절사다리차가 필요’ 국감서의 소리, 오영환 의원은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울산에 초고층 건물 화재에 필수적인 70m 높이의 고가 굴절사다리차가 없다”며 “또 다른 대형 화재 발생에 대비해 도입에 노력해 달라”고 말했다. 민주당 이해식 의원은 불이 난 아파트는 2009년 준공 당시 대피층 설치 의무가 아닌 권고사항이 news.joins.com라며 불이 난 아파트는 아직 내려져 있지 않다고 말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