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에 토스 이모티콘 토스페이스를 사용하였습니다. https://toss.im/tossface)
엘리스 AI트럭 6기 레이서 합격 https://elice.training/track/ai나는 비전공자 uxui디자이너로 일했다.오랫동안 고민하던 업종 변경을 실현하고 싶어서 퇴근 후 다시 구직하지 않았다.내일의 학습 카드를 먼저 만들어 놓고 국비를 듣는지 부트 캠프에 참가할지 고민하고 있었지만, 그 중에서 앨리스로 AI트럭이 열렸다고 해서 며칠은 출입하면서 고민했다.결론적으로 지원하고 합격 했고 나도 앞의 기수 선배들의 블로그를 보면서 정보를 많이 얻었으니 기록 겸 공유하고 보자고 생각한다. 때리중얼 중얼 중얼 중얼 두드러기. 스 아부 주의의 글 목차

엘리스 선택사유 나의 사전개발지식 비전공자가 사전에 준비할 것 지원과정1. 서류지원2. 프리트랙3. 역량테스트4. 인터뷰5. 최종합격(이후 남은 준비)
엘리스 선택사유 나의 사전개발지식 비전공자가 사전에 준비할 것 지원과정1. 서류지원2. 프리트랙3. 역량테스트4. 인터뷰5. 최종합격(이후 남은 준비)

엘리스 선택사유 나의 사전개발지식 비전공자가 사전에 준비할 것 지원과정1. 서류지원2. 프리트랙3. 역량테스트4. 인터뷰5. 최종합격(이후 남은 준비)
앨리스 선택 이유 1. 플랫폼을 먼저 겪고 보면 앨리스는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정보 통신 진흥원이 주관하는 무료 AI/SW강의를 들은 적이 있어, 이미 알고 있었다. (물론 SW만 수료하는 회사에 다니고 전부 못한)무료인데 강의의 질이 좋았다. 또 다르게 프로그램을 설치 할 필요 없이 깔끔한 독자적인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어 편했다(물론 가끔 개인적인 불편함 때문에 간단한 코드 공부, 테스트용에는 Google Collab을 더 편하게 쓰기는 했다…)플랫폼이 얼마나 잘 되어 있는지가 강의의 품질과 마찬가지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2. 과정 구성사…실은 트럭 안에서 선택할 수 있다면 SW엔지니어의 트럭에 참여하고 싶었다. 그래도 모집 기간이 아닌. OTL 하지만 엘리스 AI트럭은 프론트 엔드, 백엔드, DB, 딥-러닝을 포괄적으로 다루며, 가장 관심 있는 것은 프론트 엔드였지만 제가 다른 분야에 재능이 있는지도 모르고 알고 가는 과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향후 진로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코칭 스태프의 생활 코딩으로 이·고잉그 씨가 코치를 맡고 있다. “역대 코칭 스태프”와 작은 쓰고 있고, 그 분께 직접 배울지는 장담할 수 없습니다요.전의 기수 선배들의 블로그를 봤을 때 git강의를 이고ー잉그 씨가 직접 지위하고 줬다는 말도 있어서…기회도 많은 거 같아..나 같은 지나가는 통행인 한명도 생활 코딩은 안다.. < 멋지구 닫아 보니>생활 코딩 유튜브 한번쯤은 봤잖아요!?4. 전의 기수 선배들의 리뷰가 처음 모집되고 당장 지원하지 않고 가거나 오거나 고민한 것은 비슷한 다른 부트 캠프 플랫폼인 소송 사건 때문에…그곳이 어디인지 생각나지 않고, 만약 앨리스인가 걱정스러운 기분(엘리스가 아니다) 앞선 기수 선배들의 소감을 알아보려고 시간을 좀 늦췄다.네이버 블로그에 있는 앨리스 트럭의 검토는 정말 거의 본 것 같다.사람마다 느끼는 바는 모두 다르다고 생각하지만 긍정적인 감상이 많았고 일단 소감을 본 뒤에 지원해야 한다는 기분이 더 확실하게 된 것 같아.

앨리스 선택 이유 1. 플랫폼을 먼저 경험해보니 앨리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진흥원이 주관하는 무료 AI/SW 강의를 들어본 적이 있어 이미 알고 있었다. (물론 SW만 수료하는 회사에 다녀서 다 못했다) 무료인데 강의 질이 좋았다. 또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깔끔하고 독자적인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어 편했다(물론 가끔 개인적인 불편함 때문에 간단한 코드 공부, 테스트용으로는 구글 Collab을 더 편하게 사용하긴 한다…) 플랫폼이 얼마나 잘 되어 있는가가 강의 품질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한 사람이다. 2. 커리큘럼 구성사… 사실 트랙 중 선택할 수 있다면 SW 엔지니어 트랙에 참여하고 싶었다. 근데 모집 기간이 아니었어. OTL하지만 엘리스 AI 트랙은 프론트엔드, 백엔드, DB, 딥러닝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어 가장 관심 있는 것은 프론트엔드였는데 내가 다른 분야에 재능이 있을 수도 있고 알아가는 과정도 필요할 것 같고 앞으로 진로 방향을 잡는 데도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코치진의 생활 코딩으로 이건구 씨가 코치를 맡고 있다. ‘역대 코치진’이라고 작게 쓰여 있어서 그분에게 직접 배울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었지만요.저번 기수 선배님들의 블로그를 봤을때 git강의를 이고잉씨가 직강해주셨다는 후기도 있고…기회도 있었던것 같고…나 같은 지나가는 행인 한 명도 생활 코딩은 알아. <괄호로 닫아보니> 생활코딩 유튜브 한번쯤은 봤잖아요!? 4. 이전 기수 선배님들의 리뷰가 처음 모집되고 나서 바로 지원하지 않고 왔다갔다 고민한 것은 비슷한 다른 부트캠프 플랫폼에서 있었던 소송 사건 때문에… 그곳이 어디였는지 기억이 안 나고 혹시 엘리스였는지 걱정되는 마음(엘리스 아님)에 앞선 기수 선배님들의 소감을 알아보느라 시간을 조금 늦췄다.네이버 블로그에 있는 앨리스트랙 리뷰는 정말 거의 다 본 것 같아.사람마다 느끼는 바는 다 다르겠지만 긍정적인 소감이 많았고 일단 소감을 본 후 지원해야겠다는 마음이 더 확실해진 것 같다.
앨리스 선택 이유 1. 플랫폼을 먼저 경험해보니 앨리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진흥원이 주관하는 무료 AI/SW 강의를 들어본 적이 있어 이미 알고 있었다. (물론 SW만 수료하는 회사에 다녀서 다 못했다) 무료인데 강의 질이 좋았다. 또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깔끔하고 독자적인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어 편했다(물론 가끔 개인적인 불편함 때문에 간단한 코드 공부, 테스트용으로는 구글 Collab을 더 편하게 사용하긴 한다…) 플랫폼이 얼마나 잘 되어 있는가가 강의 품질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한 사람이다. 2. 커리큘럼 구성사… 사실 트랙 중 선택할 수 있다면 SW 엔지니어 트랙에 참여하고 싶었다. 근데 모집 기간이 아니었어. OTL하지만 엘리스 AI 트랙은 프론트엔드, 백엔드, DB, 딥러닝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어 가장 관심 있는 것은 프론트엔드였는데 내가 다른 분야에 재능이 있을 수도 있고 알아가는 과정도 필요할 것 같고 앞으로 진로 방향을 잡는 데도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코치진의 생활 코딩으로 이건구 씨가 코치를 맡고 있다. ‘역대 코치진’이라고 작게 쓰여 있어서 그분에게 직접 배울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었지만요.저번 기수 선배님들의 블로그를 봤을때 git강의를 이고잉씨가 직강해주셨다는 후기도 있고…기회도 있었던것 같고…나 같은 지나가는 행인 한 명도 생활 코딩은 알아. <괄호로 닫아보니> 생활코딩 유튜브 한번쯤은 봤잖아요!? 4. 이전 기수 선배님들의 리뷰가 처음 모집되고 나서 바로 지원하지 않고 왔다갔다 고민한 것은 비슷한 다른 부트캠프 플랫폼에서 있었던 소송 사건 때문에… 그곳이 어디였는지 기억이 안 나고 혹시 엘리스였는지 걱정되는 마음(엘리스 아님)에 앞선 기수 선배님들의 소감을 알아보느라 시간을 조금 늦췄다.네이버 블로그에 있는 앨리스트랙 리뷰는 정말 거의 다 본 것 같아.사람마다 느끼는 바는 다 다르겠지만 긍정적인 소감이 많았고 일단 소감을 본 후 지원해야겠다는 마음이 더 확실해진 것 같다.

앨리스 선택 이유 1. 플랫폼을 먼저 경험해보니 앨리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진흥원이 주관하는 무료 AI/SW 강의를 들어본 적이 있어 이미 알고 있었다. (물론 SW만 수료하는 회사에 다녀서 다 못했다) 무료인데 강의 질이 좋았다. 또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깔끔하고 독자적인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어 편했다(물론 가끔 개인적인 불편함 때문에 간단한 코드 공부, 테스트용으로는 구글 Collab을 더 편하게 사용하긴 한다…) 플랫폼이 얼마나 잘 되어 있는가가 강의 품질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한 사람이다. 2. 커리큘럼 구성사… 사실 트랙 중 선택할 수 있다면 SW 엔지니어 트랙에 참여하고 싶었다. 근데 모집 기간이 아니었어. OTL하지만 엘리스 AI 트랙은 프론트엔드, 백엔드, DB, 딥러닝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어 가장 관심 있는 것은 프론트엔드였는데 내가 다른 분야에 재능이 있을 수도 있고 알아가는 과정도 필요할 것 같고 앞으로 진로 방향을 잡는 데도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코치진의 생활 코딩으로 이건구 씨가 코치를 맡고 있다. ‘역대 코치진’이라고 작게 쓰여 있어서 그분에게 직접 배울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었지만요.저번 기수 선배님들의 블로그를 봤을때 git강의를 이고잉씨가 직강해주셨다는 후기도 있고…기회도 있었던것 같고…나 같은 지나가는 행인 한 명도 생활 코딩은 알아. <괄호로 닫아보니> 생활코딩 유튜브 한번쯤은 봤잖아요!? 4. 이전 기수 선배님들의 리뷰가 처음 모집되고 나서 바로 지원하지 않고 왔다갔다 고민한 것은 비슷한 다른 부트캠프 플랫폼에서 있었던 소송 사건 때문에… 그곳이 어디였는지 기억이 안 나고 혹시 엘리스였는지 걱정되는 마음(엘리스 아님)에 앞선 기수 선배님들의 소감을 알아보느라 시간을 조금 늦췄다.네이버 블로그에 있는 앨리스트랙 리뷰는 정말 거의 다 본 것 같아.사람마다 느끼는 바는 다 다르겠지만 긍정적인 소감이 많았고 일단 소감을 본 후 지원해야겠다는 마음이 더 확실해진 것 같다.
내 사전 개발 지식, 비전공자가 미리 준비할 것, 내 수준을 먼저 말했지만 비전공자로 정규 교육을 받아 본 것은 대학 시절 html/css조금 짠 것이 전부였다. 스크립트는 못쓴 웹 사이트를 켜고 크롬 개발자 모드로 해서 프론트를 열고 이해하는 정도는 가능했던 자바 스크립트, 파이썬? 전혀 모른다. 한마디로 충분하지 않나. 초심자!(은 라)비전공자가 사전에 준비하면 좋겠다 1. 개발자에 대해서 아는 것이 “적성에 불타는 “으로 알려졌다. 개발자가 무엇을 하는 직업인지 자신이 정말 원하는 직업인가 자신과 밀착되는지를 사전에 파악하고 뛰어들어야 하는 저는 디자인 일을 하고 있었고 많은 개발자를 만났다. 우와, 천재인가? 하고 싶은 사람도 굉장히 많았고, 우와, 뭐였더라..?^^; 하고 싶은 사람도 너무 많았다.물론 후자도 많은 노력을 하고 개발자가 됐을까.그러나 항상 그들은 negative적인 태도였고, 야근을 하고 언제나 괴로운 듯이 보였다.함부로 나도 개발자가 된다! 히힛… 하지 않고 자신의 적성에 맞을지 자신이 이것으로 밥을 벌어 살아갈지 알아 두는 것, 그것이 가장 중요하다. 2. 기본 지식은 알고 시작하는데 적합한지를 알아보려면 우선 코드를 사용하여 봐야 한다. 갑자기 시작하면 난생 처음 보는 코드의 쓰나미에 휩쓸려서 중도에 포기하는 확률도 높다.가 부트 캠프는 전공자도 따라가지 못하는 과정이지만 비전공자는 얼마나 힘든가요. 그저 눈물만으로 인터넷에서 무료 강의를 보고 되도록이면 공부를 먼저 하는 것을 권한다. 이를 무료로 보아도 된가 싶을 정도로 아주 좋은 강의가 많습니다.그리고 선수 학습을 하면서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 공부한 것을 기록하는 습관을 재어 두면 잘 잊거나 혼동하기 쉬운 일을 자신의 공간에 적어 놓으면 매번 검색하지 않아도 자신이 적어 놓은 글을 보면 좋으니 편하다.개인적으로 추천하는 강의 생활 코딩 웹 개발 htps://opentutorials.org/course/3083프로 그라 매스 스쿨(무료 강의도 있고 코ー테ー 연습도 있다), https://school.programmers.co.kr/ 인 프레온 무료 강의 https://www.inflearn.com/3. 검색을 잘 하는 것도 개발자에 핵심 역량이라는 구글 검색창에 “개발 언어+자신이 궁금한 것”이라는 pexython print)를 검색하자 친절한 선배들이 정리하고 준 것 비슷한 질문이 참 많다.검색 결과가 영어할 경우도 많기 때문에 영어도 능숙하게 생겼으면 좋겠다.(나는 못한 w)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2/lessons/195

내 사전 개발 지식, 비전공자가 미리 준비하는 것, 내 수준을 먼저 얘기했는데 비전공자였고 정규 교육을 받아본 건 대학 시절 html/css 조금 인색한 게 전부였다. 스크립트는 쓰지 못한 웹사이트를 켜고 크롬 개발자 모드로 만들어 프론트를 열고 이해하는 정도는 가능했던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전혀 몰라. 한마디로… 초보자! (은애) 비전공자가 미리 준비하면 될 1. 개발자에 대해 아는 것이 ‘적성에 불탄다’고 하더라. 개발자가 무엇을 하는 직업인지, 내가 정말 원하는 직업인지, 나와 꼭 맞는지 미리 파악하고 뛰어들어야 하는 나는 디자인 일을 하다가 많은 개발자들을 만났다. 와, 천재인가? 하고 싶은 사람도 되게 많았고 와, 뭐지…?^^; 하고 싶은 사람도 엄청 많았어.물론 후자도 많은 노력을 해서 개발자가 되었겠지.하지만 항상 그들은 negative적인 태도였고 야근을 해서 항상 힘들어 보였다.무작정 나도 개발자가 되자! 히히…하지 말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지, 자신이 이걸로 밥을 벌어 살아갈 수 있는지 알아두는 것, 그것이 가장 중요하다. 2. 기본 지식은 알고 시작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코드를 사용해봐야 한다. 갑자기 시작하면 난생 처음 보는 코드 쓰나미에 휘말려 중도 포기할 확률도 높다.가부트 캠프는 전공자도 따라갈 수 없는 과정인데 비전공자는 얼마나 힘들까요? 그저 눈물로만 인터넷으로 무료 강의를 보고 가급적 공부를 먼저 할 것을 권한다. 이걸 무료로 봐도 되나 싶을 정도로 아주 좋은 강의들이 많아요.그리고 선수 학습을 하면서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 공부한 것을 기록해 두는 습관을 길러두면 자주 잊어버리거나 헷갈리는 것을 자신의 공간에 적어두면 매번 검색하지 않아도 자신이 써놓은 글을 보면 되기 때문에 편하다.개인적으로 추천하는 강의, 생활코딩 웹개발 https:/opentutorials.org/course/3083 프로그래밍 스쿨(무료강의도 있고 코테연습도 할 수 있다), https://school.programmers.co.kr/ 임프론 무료강의 https://www.inflearn.com/3. 검색을 잘하는 것도 개발자에게 중요한 역량이라는 구글 검색창에 ‘개발언어+내가 궁금한 것’이라는 pexython print)로 검색하면 친절한 선배들이 정리해준 것, 비슷한 질문이 정말 많다.검색결과가 영어로 나오는 경우도 많아서 영어도 잘했으면 좋겠어.(私はできないw)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2/lessons/195
지원 코스:1. 서류 지원(지원 계획을 시작하기 전에 직업 훈련 포털 HRD-Net으로 내일 학습 카드를 사전에 발행하는 것을 추천한다.미리 만들어 둔다고 돈이 없어지는 것도 아니고 꼭 앨리스가 아니라도 다른 국비도 신청할 수 있으므로(중복 수강할 수 없다)최종 선발 후에 만들면 막차일지도 모르니 미리 만들어 두면 편하기 때문이네.https://www.hrd.go.kr/서류 지원 때 자기 소개서처럼 작성해야 하는 항목이 있다. 나는 직장 생활을 조금 한 적이 있는데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하고, 모든 항목을 쉽게 작성할 수 있었다 모든 항목 500자 내외로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그리 거창하게 쓸 필요도 없다. 3번째의 항목만 해당 사항이 없어서 직장에서 체험한 것을 기술했다. 지원 동기와 엘리스 트럭을 통해서 달성하고 싶은 목표를 적어 주세요. 개발자의 취업에 관한 탐색하거나 노력한 경험과 수료 후의 취업 계획을 쓰세요.(적성 및 취업 시장에 대한 탐색, 취업 준비 방법 및 목표 기간 등)탐색 및 노력의 경험이 없으면 취업 때문에 향후 어떠한 탐색과 노력의 과정을 거치는지 계획을 최대한 구체적으로 적어 주세요. 개발에 대한 달성 경험을 쓰세요.(성적 향상 및 어려움 극복, 수상 및 완성의 경험 등)개발 학습 관련 성취 경험이 없는 경우는 다른 분야의 학습과 관련된 성취 경험을 쓰세요. 협업에로써 실행 경험 또는 어려움 극복 경험을 쓰세요.(나의 역할, 처한 상황, 문제 해결을 위해서 시도했던 방법, 결과 및 깨달음 등을 담고 주세요.서류 지원 칩의 뒤에 한 인터뷰 때 지원서의 내용에 관한 질문을 받을 수 있으면 대답하는 것을 미리 고려하고 작성, 제출한 내용은 따로 저장했다가 인터뷰 전에 한번 읽어 가면 응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모든 내용은 솔직하게 꾸미지 않고라도 나의 열정이 잘 느껴지도록 쓴다서류를 통과하면 메일과 메일이 온다.프리 트럭 수강을 위해서 매주 서류 합격을 발표하고 나의 경우 2차 발표일 전날의 10/17일 밤 9시경 서류를 보내서 일주일은 아마도 날린 것이다. 생각했다. 그런데 다음날(10월 18일)서류 합격의 연락이 왔어(흑흑)다행히 저의 서류까지 검토하고 받을 수 있었다..캄살은..덕분에 프리 트럭을 3주 정도 들을 수 있게 됐다.서류를 통과하면 메일과 메일이 온다.프리트랙 수강을 위해 매주 서류 합격을 발표해주는데, 나의 경우 2차 발표일 전날인 10/17일 밤 9시쯤 서류를 보냈기 때문에 일주일은 아마 건너뛰었을 거야.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다음날(10월 18일) 서류 합격 연락이 왔다. (울음) 다행히 내 서류까지 검토해 줄 수 있었다.. 까무사릉..덕분에 프리트랙을 3주 정도 들을 수 있게 됐다.서류를 통과하면 메일과 메일이 온다.프리트랙 수강을 위해 매주 서류 합격을 발표해주는데, 나의 경우 2차 발표일 전날인 10/17일 밤 9시쯤 서류를 보냈기 때문에 일주일은 아마 건너뛰었을 거야.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다음날(10월 18일) 서류 합격 연락이 왔다. (울음) 다행히 내 서류까지 검토해 줄 수 있었다.. 까무사릉..덕분에 프리트랙을 3주 정도 들을 수 있게 됐다.지원코스 : 2. 프리트랙지원코스 : 2. 프리트랙KDT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자. 지원 시에 작성한 메일에서 ID을 만들어 준다.이전 강의를 받았던 적이 있으므로 이미 ID가 있어서, 기존의 ID로 로그인 학습 메뉴에 들어서자 프리 트랙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프리 트럭을 꼭 이수해야 역량 시험을 볼 수 있어 강의는 당연히 무조건 받아야 한다.수업 리스트프리 트럭은 논리력과 파이 손 강의로 구성된 프리 트럭과 추가 학습을 위한 연습 문제집으로 구성된 기본적인 print, input와 for문, if문, while문, list, dictionary, tuple, def에서 함수 만들기 정도를 배운다.프리 트럭을 꼭 이수해야 역량 시험을 볼 수 있어서 비전공자인 나는 강의를 전부 들은 뒤에도 완전히 숙지하지 못한 나에게 연습 문제집의 문제는 난이도가 높아서 프리 트럭 개시 후 주말마다 남자 친구가 과외 수업을 하고 줬는데 곁에서 코멘트하지 않으면 스스로 혼자서 풀리지 않는 상태였기 때문에 좌절감이 너무 심했다.문제가 머리로는 이해하지만 코드로 변환되지 않고 키보드에 손을 놓은 사람만.10일 이상 공부한 데 for문을 쓰는 것도 몰랐다. 그래서!!프리 트랙 외에 더 공부를 했다.1. 초심자를 위한 파이썬 300문항 https://wikidocs.net/book/922너무 어려운 문제를 오래 안고 있는 것보다 간단한 문제를 많이 풀어 그 원리를 깨닫고 점점 어려운 문제에 응용하는 방식이 처음부터 초심자였던 제게는 더 도움이 되었다. 난도 그다지 어렵지 않고 직감적으로 글을 쓰고 있어서 아주 도움이 틀림 없다 앨리스 연습 문제집 초급을 풀고 이를 풀고 연습 문제 집중급~심화를 풀것을 추천하고 나는 001~240번의 함수까지 푼 2. 프로그래머 간첩 송 입문 강의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2엘리스 프리 트럭 강의와 중복되는 내용이 많지만 같은 강의를 한번 받기보다 다른 강의를 다시 받아 보고 싶어서 물었다. 파트 11 while문으로 반복 제어까지 들었다. 프로그래머 스쿠-장에서 연습 문제도 풀어서 Python Lv.0에서 몇가지 풀어 보기도 했다. 그리고 프로그래머도 플랫폼이 너무 잘 되어 있다. 실습 문제를 푼 뒤 다른 사람들의 코드도 볼 수 있고, 질문을 하는 커뮤니티도 많아 너무 도움이 되었다.day까지 열심히 공부 공부…실행/제출 454회..실제는 구글의 고 랩(더 편하다)에 코드를 적어 보고, 그래서 800번은 있지 않을까.www 엄청난 실수에서 공부..중급 문제를 처음으로 풀때는 남자 친구가 곁에서 줄곧 말을 해야 겨우 풀 수 있었지만 마지막으로 혼자 복습할 때는 그래도 많이 코드를 사용할 수 있었다.최종 연습 문제집의 기초, 중급은 다 풀어 심화 문제는 10문항 중 5개만 어떻게 풀 수 있었지만 그 중에서 처음부터 나의 머리로 해독조차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OTL전투력이 딱 부러졌다,, 그래도 여기까지 왔는데 질 수 없어,,!심화까지는 못해도 초급, 중급 문제까지는 혼자서 녹게 된 것에 나는 만족day까지 열심히 공부…실행/제출 454회…실제로는 구글의 코랩(더 편하게)에 코드를 써보고, 그래서 800회는 되지 않을까?ㅋㅋㅋ 엉뚱한 실수로 공부… 중급 문제를 처음 풀 때는 남자친구가 옆에서 계속 댓글을 달아야 풀 수 있었는데 마지막에 혼자 복습할 때는 그래도 꽤 코드를 쓸 수 있었다.최종적으로 연습문제집의 기초, 중급은 다 풀고 심화문제는 10문제중 5문제만 그럭저럭 풀 수 있었는데 그중에 처음부터 내 머리로 해독조차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OTL전투력이 딱 부러졌다…근데 여기까지 왔는데 질수가 없다…! 심화까지는 못해도 초급~중급문제까지는 혼자 풀게 된것에 나는 만족day까지 열심히 공부…실행/제출 454회…실제로는 구글의 코랩(더 편하게)에 코드를 써보고, 그래서 800회는 되지 않을까?ㅋㅋㅋ 엉뚱한 실수로 공부… 중급 문제를 처음 풀 때는 남자친구가 옆에서 계속 댓글을 달아야 풀 수 있었는데 마지막에 혼자 복습할 때는 그래도 꽤 코드를 쓸 수 있었다.최종적으로 연습문제집의 기초, 중급은 다 풀고 심화문제는 10문제중 5문제만 그럭저럭 풀 수 있었는데 그중에 처음부터 내 머리로 해독조차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OTL전투력이 딱 부러졌다…근데 여기까지 왔는데 질수가 없다…! 심화까지는 못해도 초급~중급문제까지는 혼자 풀게 된것에 나는 만족day까지 열심히 공부…실행/제출 454회…실제로는 구글의 코랩(더 편하게)에 코드를 써보고, 그래서 800회는 되지 않을까?ㅋㅋㅋ 엉뚱한 실수로 공부… 중급 문제를 처음 풀 때는 남자친구가 옆에서 계속 댓글을 달아야 풀 수 있었는데 마지막에 혼자 복습할 때는 그래도 꽤 코드를 쓸 수 있었다.최종적으로 연습문제집의 기초, 중급은 다 풀고 심화문제는 10문제중 5문제만 그럭저럭 풀 수 있었는데 그중에 처음부터 내 머리로 해독조차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OTL전투력이 딱 부러졌다…근데 여기까지 왔는데 질수가 없다…! 심화까지는 못해도 초급~중급문제까지는 혼자 풀게 된것에 나는 만족시험 날에 플랫폼에 접속하면 논리력 퀴즈와 코딩 테스트를 받을 수 있도록 추가되고 있다.최대한의 시간 한계까지 공부해서 시험을 받기보다는…밤보다 낮에 눈이 깰 때까지 시험을 받고 싶어서 낮에 응시한 나는 걱정 of걱정 벌레이기 때문에 밤 늦게 봐도 하루 종일 걱정하고 공부에 집중할 수 없는 것이 분명하고 그것에서 해머나 빨리 응시하고 모자라서 해머왈지 어쨌든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고 하하 핫.(사실은 빨리 끝내고 밀린 유튜브와 웹툰을 보고 싶었다)1. 논리력 퀴즈 총 30문항을 30분간 풀다. 1개당 1분 가량 쓸 수 있다.”지문 독해 퀴즈나 추론 퀴즈, 그래프 퀴즈는 너무 서두르고 풀지 않도록 하는 “과 반추하면서 풀었다. 연습 문제를 풀당시 급히 풀어 맞힌 문제도 잘못된 것으로 가장 자신이 없었던 수학 문제는 5문제도 풀리지 않았다. 확실히 연습 문제집에서 풀어 본 문제가 나왔는데 공식이 생각나지 않는다.wwwwww(재미 없는)남자 친구가 열심히 주말을 쓰면서 과외 수업을 하고 준 문제를 안 푸서 죄송하고, 멘탈이 실시간으로 쓰러지는 게 느껴졌다.제한 시간이 걸리고 있다 보면 머리가 둘러싸고 긴장하고 더 막힌 것 같다.마지막에는 결국 22초밖에 남지 않고 풀리지 않았다 5개를 씁쓸하게 웃으면서 찍어 제출했지만 카메라 녹화 중이라는 것을 깜빡 잊어 버렸다.저의 썩은 미소가 다 찍겠지.수험한 뒤 결과가 바로 나왔다. 못 푼 수학 문제 이외에 3개나 틀렸네.어디서 잘못 들었나.수학 문제 이외는 전부 알아 맞출 자신이 있었을텐데… 그렇긴. 급히 풀지 않도록 하겠다고 그렇게 마인드 컨트롤을 했는데 잘못되어 분했다.문제를 다시 볼 수 없으니 무슨 문제가 잘못됐는지 모르겠다…2. 코딩 테스트 등 5개를 90분간 풀다. 1개당 18분 논리력 퀴즈를 받은 뒤 1시간 정도 코드 복습을 한 뒤 응시했다. 그런데 생각보다 쉬운 문제가 나오고 3번 문제까지 풀면 시간이 1시간 15분이나 남았다!!저기..나 좀 이상한 느낌. 4번 문제를 시작했지만 저는 단단하고 말았다.문제 유출을 못하고 자세히 쓸 수는 없지만 4,5번 문제가 나로썬 너무 어려웠다. 4번째 문제는 코드를 짰는데, 처음부터 출력되지 않고 5번째 문제는 코드를 짰는데 어딘가 잘못되고 있는지 한번 출력해야 하는 것이 몇번이나 반복됐어요.(웃음)그 부분을 고치려고 코드를 찢어 해부했지만 더 꼬인 듯 처음부터 전체 주석을 걸어 고치기를 2차례 했다.해결 못하고 그대로 제출했다.수험한 뒤 결과가 바로 나왔다. 4문항 맞힌 것으로 알려졌지만, 마지막 5문항은 일부만 맞췄다고 인정 받아 일부 점수(6점)만 했으니 실제는 3개 맞췄다고 할 TT눈물… 그래도 잘못된 코드에서도 고민한 흔적은 남겨두고 싶고 이것 저것 시도해서 본 코드는 남겨뒀다. 저의 절실함을 읽어 주세요.역량 시험 수험 칩 논리력 퀴즈는 타임 어택이어서 지금 직면하고 있는 문제로 막히면 시간을 두는 것보단은 빠르게 진행될 결단력(…)도 필요하다.다음 문제는 왼쪽 위의 햄버거 메뉴에서 목록을 벌리고 다시 한번 확인. 하단의 “예전”,”다음에 “버튼으로 이동하는 것은 시간 낭비가 심한 하단에 타이머가 있고, 도중에 시간 체크의 정답을 고른 뒤 꼭”제출”버튼을 클릭하고 다음으로 나아간다. 눌러야 제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점수를 떨어뜨릴 수 있다.논리력 퀴즈 수학 문제:연습 문제집에서 출제된 문제와 비슷한 문제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수학이 못 부르면 연습 문제집 죽을 만큼 푸세요.문장 독해, 추리 문제가 먼저 나오고 수학 문제가 후반에 나오는 코딩 테스트 죄송하지만 저는 잘 못 봐었으니 팁 같은 것은 없다…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이 요령이다 문제를 읽었을 때 어떤 함수를 사용하는지(for, if, while…)바로 떠올릴 만큼 연습 문제를 많이 풀어 보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못 푼 문제이라고 백지로 내는 것보다는 잘못 채점할 수 없는 코드든 뭐든 본 흔적을 남긴 분이 어필에 도움이 되지 않겠느냐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다.수험 후, 사실은 닫혔다고 생각하고… 그렇긴. 주말 동안 잘못된 문제를 복기도 않고 영화도 보고 남자 친구와 즐겁게 놀고만 있었다.그런데 메시지가…! 메일 와보니 잉타뷰이에 선정됐다는 메일이 온! 엄 메일..캄살은메ー루에 인터뷰 일정 예약 방법을 자세히 담고 있으므로, 그대로 따르고 인터뷰 예약을 해야 한다.12시경 인터뷰 예약 창에 들어가면 이미 많은 시간이 예약되어 있었다. 모두 일찍 맞는 게 낫다는 주의인가, 15일 전의 시간은 거의 예약이 끝난 상태였다 ww나는 인터뷰 기간 3일(15,16,17일)중 2일째인 16일 오후 2:30에 예약했다.수능 끝나고 사실 조여진 줄 알고… 주말동안 틀린 문제를 복기도 하지 않고 영화도 보고 남자친구와 재미있게 놀기만 했다.그런데 메시지가…! 메일 들어가보니 인터뷰이에 선정되었다는 메일이 와있었어! 엄매…감사릉 메일에 인터뷰 일정 예약 방법이 자세히 적혀 있으니 그대로 따라 인터뷰 예약을 해야 한다.12시경 인터뷰 예약창에 들어가 보니 이미 많은 시간이 예약돼 있었다. 다들 빨리 맞는 게 낫다는 주의인지 15일 전 타임은 거의 예약이 돼 있었다 ㅎㅎ 나는 인터뷰 기간 3일(15, 16, 17일) 중 둘째 날인 16일 오후 2:30에 예약했다.수능 끝나고 사실 조여진 줄 알고… 주말동안 틀린 문제를 복기도 하지 않고 영화도 보고 남자친구와 재미있게 놀기만 했다.그런데 메시지가…! 메일 들어가보니 인터뷰이에 선정되었다는 메일이 와있었어! 엄매…감사릉 메일에 인터뷰 일정 예약 방법이 자세히 적혀 있으니 그대로 따라 인터뷰 예약을 해야 한다.12시경 인터뷰 예약창에 들어가 보니 이미 많은 시간이 예약돼 있었다. 다들 빨리 맞는 게 낫다는 주의인지 15일 전 타임은 거의 예약이 돼 있었다 ㅎㅎ 나는 인터뷰 기간 3일(15, 16, 17일) 중 둘째 날인 16일 오후 2:30에 예약했다.수능 끝나고 사실 조여진 줄 알고… 주말동안 틀린 문제를 복기도 하지 않고 영화도 보고 남자친구와 재미있게 놀기만 했다.그런데 메시지가…! 메일 들어가보니 인터뷰이에 선정되었다는 메일이 와있었어! 엄매…감사릉 메일에 인터뷰 일정 예약 방법이 자세히 적혀 있으니 그대로 따라 인터뷰 예약을 해야 한다.12시경 인터뷰 예약창에 들어가 보니 이미 많은 시간이 예약돼 있었다. 다들 빨리 맞는 게 낫다는 주의인지 15일 전 타임은 거의 예약이 돼 있었다 ㅎㅎ 나는 인터뷰 기간 3일(15, 16, 17일) 중 둘째 날인 16일 오후 2:30에 예약했다.지원 과정:4. 인터뷰하면서 전직을 몇번도 하고 보았기 때문에 긍정적인 인터뷰 준비 과정은 어렵지 않았다.전의 기수의 선배들의 합격 리뷰를 보면서 예상 질문을 뽑아 → 나의 답장을 써서 정리 → 실전처럼 한번 읽어 보고 문맥을 갖추는 나의 답변을 술술 외울 필요는 없고 몇가지 키워드만 기억하고 답변할 때에 키워드를 하나하나 꺼내서 문장에 연결시키며 이야기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다.기술 질문은 없고 인성 질문이 주인이라며 대답을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하도록 준비한 것 같다.※인터뷰는 구글 미트로 진행 예상 질문 자기 소개 서류 지원 시에 작성한 내용 관련 질문(비전공자, 다른 직종자 해당)이전 전공과 한 것, 개발의 전향 이유 많이 부트 캠프 안에서 엘리스 트랙을 선택한 이유 프리 트럭 난이도는 어땠어?(시험에 실패한 경우 해당), 코ー테 점수가 낮은 이유, 살아 있어 가장 소중했던 것에 짜증 내고 싶지 않았다고 어떻게 해결한 지성의 오랜·단점, 자신의 역량보다 많은 능력이 필요하게 되면 팀 프로젝트 때 참여하지 않은 팀원, 무임 승차에 대한 생각은 자신이 못하여 프로젝트를 이해하고 싶을 때 프로젝트를 생각하고 싶은 사람은 어떻게 지 더 공부하나, 어떤 개발자가 되고 싶은지, 어떤 직무를 희망하는가, 가고자 하는 회사의 실제 인터뷰 인터뷰어는 한 여인이 들어오고 타이트한 시간 때문에 말이 빨라서 나도 조금 아웃사이더처럼 말했다.연령의 이야기와 이·존 잽에 대한 곤란한 질문이 있지 않을까 걱정했으나 다행히 그런 일은 없었다.그래도 웃고 씹히는 맛 없이 질문에 잘 대답했다. 꼬리의 질문이 많고 까다롭다는 리뷰를 보고걱정했지만 의외로 꼬리의 질문은 2번밖에 없었다.아래 제 대답은 간단히 썼지만, 실제로는 20~30초 정도의 답장에서 더 길게 답했다.Q. 지원한 이유 이전의 사회 생활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자 전향에 대한 꿈을 설명한 Q. 많은 부트 캠프 안에서 엘리스 ai트랙을 선택한 이유 위에 작성한 앨리스 ai트랙을 선택한 이유를 간단히 설명했다. Q. 지금까지 가장 열심히 공부한 경험 언어 쪽이 약한 것에 영어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음을 말했다.→ 꼬리의 질문 Q. 그래서 이제 영어를 잘하거나 완전하게 잘하지 않지만 영어를 내뱉는 것에 대한 공포는 조금 없어진 것 같다. Q. 개인 프로젝트를 한 적이 있는지, 디자인 관련 프로젝트를 한 적이 없지만 개발 프로젝트는 한 적이 없다. Q. 제가 너무 부족하다고 느끼면 어떡하나 제가 모자라서 좌절하고 나는 이 정도밖에 못 하 하면 정말 그 정도의 역량의 인재가 될 것이다.내가 부족하다고 느끼면 그만큼 더 공부하고 훈련하고 역량을 키운다. Q.” 가고 싶은 회사 자체의 서비스를 갖고 있어 계속 개선 발전시키는 회사에 가고 싶어”(이 질문은 준비한 응답이 따로 있었지만, 내 말이 빨리 생각이 들어 속도 조절에 신경 쓰고 엉뚱한 대답을 했다.(울음)Q. 마친 뒤 부족하다고 느끼면 어떡하나, 현업에서 배우는 것이 제일 크다고 생각하니 취업을 가장 우선할 계획이다.다만 기업이 원하는 수준에 못 미치면 좀 더 공부해야 하지만 그런 상황이 없도록 주어진 시간 내에 열심히 공부한다. Q. 팀 프로젝트 때 팀원이 너무 어려워서 못할 수 없다고 하면 어쩌나(무임 승차)공감하고 돕고 싶다. 작은 부분이라도 참석하도록 촉구한다. Q. 오히려 내가 못하고 팀 프로젝트를 하고 싶지 않으면 어떻게 할 것인지 솔직히 팀원에게 공유하고 도움을 요청한다.Q. 팀 프로젝트를 하면서 어떤 상황이 가장 싫어서 스트레스를 받았는지, 아무래도 사람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가장 큰 듯 기본적인 예의가 없거나 부정적이던 사람과 일을 한 것을 설명한 → 꼬리 질문 Q. 그럼 그런 사람과 함께 팀이 되면 어떻게 할 것인지, 우선 사적으로 친해지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고 생각한다. 마음이 열리면 그만큼 끌어낼 수 있는 것도 있다고 생각한다.Q. 걱정인 것으로 기대하는 것, 걱정스러운 일-비전공자라서 다른 분들에게 피해를 주는 상황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이다.기다려지는 일- 다른 분들과의 협업이 기대된다 Q. 궁금한 Q. 전의 기수 레이서들은 수료 후, 어떤 직무에 많이 가는가 → A. 프론트 엔드>백 엔드>인공 지능=데이터의 순으로 많이 간다. Q. 프리 트럭 수강 당시 도움말 센터에 문의 때 튜터님의 답변까지 보통 2시간 정도 텀이 있었다. 트럭에서도 같은 방식인가 → A. 도움말 센터의 튜터들은 상주하는 것이 아니라 앨리스의 외부에서 시간이 있을 때 답장을 하는 방식이므로, 답장 시간의 폭이 조금 있다. 트랙에서는 디스 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것보다 빨리 같은 동기들과도 질문이 생기므로 원하는 답변을 더 빨리 얻게 될 것이다.Q. 혹시 떨어지면 에리스의 다른 트럭에 다시 지원해도 되나 → 가능.전혀 문제 없다. 인터뷰 칩의 합류 과정이 이렇게 힘든 것에 결국 팀 풀의 무임 승차에 가기는 있는 것 같다. 머리가 아플 정도로 능동적으로 팀 풀에 임하는 것인가, 힘들 때 어떻게 극복하고 나갈지 태도를 확인하는 그런 질문이 많고 열정을 보이게 대답합니다만, 아니, 나는 무조건 열심히 할 자신 있습니다 X→ 저러면서 여러가지 노력도 하고 극복합니다. ○ 허무 타케시인 응답(꼬리의 질문에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보다는 솔직하게 자신의 의지를 나타내는 응답이 더 좋겠어.또 수료 후의 취업률이 앨리스에게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취업 의사의 높은 사람을 뽑아 줄 것이다. 취업에 대한 응답도 제대로 갖추고 두면 된다.지원과정 : 최종합격지원과정 : 최종합격최종합격! 언니랑 외출했다가 집에 오는 길에 버스에서 합격메일을 받고 버스에서 춤을 췄어 ㅋㅋ 사실 인터뷰를 나름 잘 봤다고 생각해서 (풍둔주자술을 좀 썼다..) 최악의 상황이 아니면 선발되지 않을까 내심 기대하고 있었다.골라주셔서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저 진천 성공해야…최종합격! 언니랑 외출했다가 집에 오는 길에 버스에서 합격메일을 받고 버스에서 춤을 췄어 ㅋㅋ 사실 인터뷰를 나름 잘 봤다고 생각해서 (풍둔주자술을 좀 썼다..) 최악의 상황이 아니면 선발되지 않을까 내심 기대하고 있었다.골라주셔서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저 진천 성공해야…최종 합격 후 마지막 합류 준비 최종 합격 후에 처리해야 할 일이 몇가지 있다.안내 메일에 정말 상세하게 일러 주어서 그대로 모방하면 되지만 사전에 gmail계정을 하나 먼저 준비하는 것이 좋다.(기존 계정 O, 새로 만들고도 O학교 연동 계정 X, 기타 플랫폼 연동 계정 X)1.gmail계정 준비&트랙 참여 계정 제출 전 과정과 학습 플랫폼, 디스 코드, 노ー션 등 하나의 gmail계정을 활용하니 우선 준비한다. 나는 원래 쓰던 gmail계정을 썼다. 그리고, 앨리스에서 보내세요 구글 폼 링크에 사용하려는 gmail계정을 제출하면 좋다.2. 내일 학습 카드의 발행일은 사전에 발급된 것으로 패스 3.HRD-Net수강 신청 HRD-Net사이트에서 앨리스 ai트럭에 수강 신청을 하면 좋다.140시간 이상 훈련 과정인데 고용 센터의 담당자와 유선 상의를 해야 한다는 안내문이 나오지만 무시해도 좋다. K-Digital Training과정이기 때문에 유선 상담은 생략된다.4. Discord 채널의 입장 소통 채널로 Discord를 사용한다. 초대 링크를 통해서 입장하면 돼.나는 기존에 쓰던 아이디로 들어가서 취소 후 gmail로 새로 가입하고 다시 입장했어.디스 코드에 들어가면 다시 내가 선정된 것이 실감난다.웃음)5.OT2시간 정도의 오리엔테이션이 있었다. OT때 향후의 커리큘럼과 시간표, 취업 연계 과정 등 여러 기술하고요, 또 출석이나 주의 사항 등 알아야 할 것을 가르치세요, 간단히 Q&A시간도 가졌다.취업 관련 행사가 많은 것 같아 전의 기수 선배들은 어떤 분야에 취업했는지 소식도 듣고 좋았다.OT때 알았지만 트럭 모집 당시의 정원이 150명이었지만 실제로는 110여명 정도였다.여기까지 1개월을 조금 넘는 준비·선발 여정을 거쳐서 최종 레이서로 합류하기까지의 과정을 최대한 자세히 쓴다.저는 공부 머리도 없고 걱정도 많고 좌절하기 쉽게 실패에 대한 면역도 없는 성격이어서 계속 제게 할 수 있을지 걱정과 근심으로 가득했다.6개월간 하루에 8시간+a를 공부해야 하는 어려운 시간이 되겠지만 앞으로 시간 동안 나의 걱정거리를 땔감으로 쓰고 열심히 해야 하고, 블로그에도 그 과정을 미루지 말고 최대한 기록하려구.마지막으로 제가 합격까지 굉장히 도움을 한달간 주말을 쓰면서 과외 수업을 하고 주겠다고 용기를 줘서 기운을 내서 준 내 합격의 일등 공신.. 나만의 일타 강사. 저 전용 에듀 윌..남자 친구에게 감사를 전하면서 글을 마친다. 정말 고마웠어 TT엘리스 AI 트랙, 내 인생의 개발 전환점 전산학 기본기부터 웹 개발과 데이터 분석 역량까지 갖추고 현업 개발팀 방식 프로젝트를 완수하는 경험을 통해 개발자로 취업하고 싶다면 지금 당장 AI 트랙에 합류하세요! elice.training엘리스 AI 트랙, 내 인생의 개발 전환점 전산학 기본기부터 웹 개발과 데이터 분석 역량까지 갖추고 현업 개발팀 방식 프로젝트를 완수하는 경험을 통해 개발자로 취업하고 싶다면 지금 당장 AI 트랙에 합류하세요! elice.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