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가 미래 월과학을 이끌 과학자로 주목한 심채경의 첫 에세이 이론 물리학자 김상욱, ‘씨네21’ 김혜리 기자 강력 추천!
편집자 K의 추천이었구나.글이 좋다고 해서 책을 읽었다. 평소의 나라면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ㅎ
그런 사람들이 좋았어남들이 보기에는 저게 대체 뭘까 하는 것에 즐겁게 몰두하는 사람들. 남에게 해를 끼치거나 정치적 싸움을 만들어 내지 않는, 대단한 명예나 부가 따르는 것도 아니고, TV나 휴대전화처럼 보편적인 삶의 방식을 바꾸는 영향력을 가진 것도 아닌, 그런 일에 열정을 바치는 사람들.신호가 도달하기까지 수백년 걸리는 곳에 끝없이 전파를 흘려 온 우주에, 과연 「우리뿐인가」를 깊게 생각하는 무해한 사람들 나는 그러한 사람들을 동경한다. 그리고 그들이 동경하는 하늘을, 자연을, 우주를 함께 동경한다.
프롤로그의 한국 천문학계는 매우 좁지만 천문학의 범위는 천문학적으로 넓어 관심을 끌 만한 대상이 너무 많다. 그리고 유일무이한 존재가 된다는 것은 외롭지만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저자는 국내에서 유일무이한 타이탄 전공자가 돼 대학원을 졸업했다.어쩌면 한번도 선정된 적이 없었기에 오히려 더 절대적인 연구주제가 되었을까.
‘타이탄’이 뭔지도 모르고 읽다가 ‘우주의 이해’ 강의 1교시 퀴즈에 동공이 흔들렸다.유니버스와 코스모스, 공간의 차이를 알고 있나. 천문학은 그렇다. 동시에 천문학은 그렇지 않다와 같은 오해와 진실에 관한 이야기 같기도 했다.하지만 처음에는 쉽고 아주 재미있게 읽을 수 있어서 조금은 자신만만했다. 하지만 2부 [2과형 인간입니다]에서 또 한번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저자가 연구를 즐기는 모습을 여러 번 보여주었기 때문에 도대체 이 사람들의 즐거움은 무엇일까 궁금했다.일이 그렇게 많습니까.”아뇨, 여기가 좋아서요”
코스모스를 저자도 끝내 읽지 못했다는 점에서 위안을 받았다.이 책은 그래서 천문학만 알고는 못 읽는다구.생물학 화학 세계사 종교 미국사회 분위기 천문학계 상황까지 알아야 그의 위트와 감탄을 이해할 수 있다는데.괜찮지? 괜찮지? 에 대답해보고 싶은데 아직 자신이 없어좋은 작품이고 대단하다는건 알지만 꼭 나까지 그렇게 함께 좋아해야하나 싶어.. 그 기분을 말해주니 왠지 안심이 되었다.하지만 저자는 천천히 조금씩 읽을 생각이야. 번역본 새로 나오면 사서 읽고 이 아저씨 또 사람을 선동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게 우주를 사랑하는 방식이야.
인터뷰가 요구되는 등대수의 심정이 어떠할지는 모르지만 천문학자의 경우 사회의 부름에는 대체로 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천문학을 비롯한 많은 과학 분야가 국민이 낸 귀중한 세금에서 연구비를 받고 있어 과학계 종사자임을 밝히면 듣는 사람은 거의 오하는 짧은 감탄사와 함께 이 직업을 존중해 준다.물심양면으로 지지를 받았다면 보답을 해야 한다.물론 자기 자리에서 충실히 연구하는 것이 최대의 보답이고, 이렇게 기회가 주어졌을 때 대중과 소통하는 것도 부수적이면서도 중요한 임무다.저자의 이런 태도가 참 좋았다.국민에 대한 보답이라고 보는 것이다.혹시 서로가 서로에게 고마워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에 대한 이야기도 신선했다. 하지만 고산 씨가 왜 탈락했는지 그 이유가 궁금해 찾아봤다. 그러나 저자가 면접을 보면서 겪은 경험도 공유한다. 박사학위를 가진 전문가가 아니라 잠재적으로 업무를 팀원들에게 맡길 여지가 있는 여직원의 한 사람이 될 운명이 됐다.엄마가 일을 한다는 것의 현실에 대해서 말한다. 비난의 대상은 아픈 아이도, 달려가는 엄마도, 달려가는 아빠도 아니다.
또 네이처 인터뷰 얘기도 나오고 있다.논문 저자로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인터뷰 대상으로 등장한다는 사실이 한 과학자로서 부끄러웠다는 것. 그런데도 여전히 계약기간이 정해진 박사학위 연구원이어서 학문의 세계가 신성한 것도 낭만적이지도 않다는 것이다.
어린 왕자에 대한 팩트 체크도 있다.이건 내가 이해를 잘못해서 이해할 수 있는지도 모르겠어.어린 왕자를 만나면 저자는 해 지는 광경을 보려면 어느 쪽으로 걸어야 하는지 넌지시 일러 준다.천문학자들이 생각보다 꽤 도움이 된대.www
만원짜리 지폐 뒷면에 한국 전통의 별자리가 실린다는 것도 알고는 있었지만, 새롭네.한반도의 옛 밤하늘을 담은 지도, 천상열차 분야지도. 내가 아는 것은 지폐에 실린 음모론뿐이다.
어렸을 때 열심히 쳤던 피아노곡 <은파> 얘기가 나와서 한동안 좋아했지만, 초승달과 초승달의 차이도 몰랐던 나는 다시 한번 좋겟다.위기를 느꼈다 소행성들의 대습격으로 달이 만들어졌다니읽어도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21세기의 달 방문은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주제는 아니었지만 앞으로는 좀 더 관심을 갖고 보게 될 것이다.달 뒷면 얘기를 많이 한 이유가 다 있었구나, 달 기지가 생기면 뒷면과 뒷면 중 어느 지역 부동산에 투자해야 하는지 명백하다고.wwwwwwwww
수십 년 만에 다시 달에 사람을 보내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위해 미 항공우주국은 여러 음악을 골라놓은 선곡 과정에서 지구인의 추천도 받았지만 지구 최강이라고 할 만한 팬덤을 보유한 BTS의 곡이 일찌감치 우주 DJ 명단에 올랐다. 단순히 다수결에 따른 결정이 아니었다.많은 후보곡 중 ‘소우주’와 ‘134340’ 그리고 RM의 ‘문차일드’ 이렇게 우주를 소재로 한 노래가 뽑혔다.여기서 또 BTS를 만나다니놀랐어, 그들의 스펙트럼은 어마어마.<134340>은 명왕성의 다른 이름이라고 한다.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의 투표 결과에 따라 왜소행성으로 분류되는 바람에 수금지 화목토천해까지 읊은 뒤 잠시 숨을 멈추게 하는 바로 그 명왕성이라고.(작가님의 글이 참 맛있군) 지금 공식적으로는 명왕성을 134340 명왕성으로 표기하고 있다.행성 여부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지만 명왕성은 위성 친구들과 서로 중력을 주고받으며 오래 멈추지 않는 자신들만의 왈츠를 추고 있을 뿐이다.(왈츠사랑한다)
한국에 배정된 별과 행성은 공모결과 백두와 한라로 결정되었어. 왠지 비장해.어쩐지 K답다.그리고 이야기는 과학자는 무엇이고 연구자는 무엇일까를 생각하는 과학자도 에세이를 쓰느냐로 흐른다.
처음에는 스스로에게 물어보고 몇 번이나 물었다.도대체 무슨 책을 쓰겠다는 거야? 원고 쓰는 데 아무 도움이 안 되는 그 질문을 오랫동안 품고 있다가 문득 깨달았다. 책장에 꽂혀 있는 김준혁 작가의 책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뭐든지 되겠지.”
무엇이 되려면 무엇이든지 해야 한다고. 그리고 무엇이든지 하면 좋다고 인생은 내게 가르쳐 주었다.그래서 안개 속 미지의 목적지를 향해 썼다.지금 세상에 과학자가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해답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면서도 그 질문은 다시 말해 지금 세상에 과학자는 어디에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고 말했다.무엇보다 좋았던 것은 이 문장이었다.책을 완성하기까지 꼬박 열 번의 계절이 지난 옛날은 물론 이렇게 표현한 작가도 있었던 것 같은데 천문학자들이 써서 좀 다르게 느껴졌을까.몇 년, 몇 개월도 아닌 계절에서 표현한 것이 천문학자답다고나 할까.
별점★★★★☆정말 흥미가 없는 분야인데 이렇게 즐겁게 읽을 수 있구나. 하고 생각했지만 역시나 후반부로 갈수록 내 눈은 허공을 자주 쳐다보았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님은 내게 친근한 선생님 같았다.예전에 선생님 때문에 물리를 포기하고 지구과학을 포기했다는 친구들이(물론 나도 포함해) 많았지만 이런 선생님이 있었으면 더 흥미를 가졌을 것 같은 그런 선생님 말이다.(나도 모르게 이과에 갔을지도) 제목의 글꼴도 너무 예뻐 챕터마다 그 글꼴이 계속 등장해 더 좋았다.다음 책이 벌써부터 기대된다.독자의 요청에 부응해 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