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성스러운 영화가 있는가
<페르소나>는 연기자 아이유(이지은)의 팔색조 매력을 만날 수 있는 영화다. 드라마 ‘나의 아저씨’를 통해 연기력을 입증한 바 있는 그녀지만 영화계에 발을 디딘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기 스펙트럼을 넓히기 위한 강한 의지가 돋보인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작품인 <페르소나>는 이경미, 임필성, 전고은, 김종관 네 감독의 단편(<러브셋>, <썩지 않게 너무 길게>, <키스가 죄>, <밤을 걷다>)을 엮은 옴니버스 영화다. 이지은은 네 작품 모두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페르소나를 구성하는 4개 작품 모두 파격적이고 재기발랄하다. 넓게 보면 사랑이라는 같은 주제의 뿌리를 두고 있지만 줄기와 잎은 모두 다르다. 그래서 우리는 이지은의 다양한 매력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네 편의 작품은 어떤 이야기를 그렸을까. 하나씩 정리해 보자.이
경미 감독의 러브셋은 질투와 욕망 가득한 소녀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영화다.

영어 선생님과 아버지 사이를 오가며 욕망을 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한입 가득 자두를 먹는 모습, 피땀을 흘리며 영어 선생님과 한판 붙는 테니스 경기는 관객들에게 주인공의 성적 정체성의 혼란을 제시하기도 한다. 주인공의 진짜 욕망은 무엇일까. 그녀가 질투하는 대상은 누구일까? 이것을 생각해 보면 이 영화에 매료될 것이다.


두
이번 작품 ‘썩지 않게 너무 오래’는 임필성 감독의 작품이다. 고양이 자세로 요가를 하고 있는 주인공 ‘은’이 ‘color’로 소개되면서 강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킨 작품이다. 그럼 주인공이 수집하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사랑의 마음이다. 보다 직관적으로 표현하는 남자들의 심장이다. 사실 나는 이 영화가 김정관 감독의 작품이라고 추측했다. 김 감독의 ‘더 테이블(2016)’을 본 관객 중에 나와 같은 생각을 한 사람이 있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여성과 남성이 티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 오랜만에 재회한 남녀의 상황은 <더 테이블> 속 한 장면을 떠올리기에 충분했기 때문이다.
클로저(2004)도 연상됐다. ‘웅’의 ‘그렇게 말하는 사랑이 뭐야?’ 진짜 사랑 좀 보여줘, 마음 내서 좀 나한테 보여줘. 여기 좀 꺼내봐’라는 대사가 <클로저>의 앨리스 씨가 말한 “어디 있어? 사랑이 어딨어? 볼 수도 만질 수도 느낄 수도 없어! 몇 마디는 들리지만 그런 간단한 말은 공허할 뿐이라고 연상시켰기 때문이다. <썩지 않게 아주 오래>의 발상은 우리 모두가 한 번쯤 고민해 본 사랑의 관념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기괴한) 영화다.쩐
고은 감독의 ‘키스가 죄’는 키스를 몰랐던 두 소녀의 순수한 욕망이 돋보이는 영화다. 주인공 ‘한나’는 친구 ‘해복’이 처음 키스한 뒤 아버지로부터 학대를 당하자 소심한 복수를 감행한다. 하지만 역시 복수의 길은 쉽지 않다. 이 과정과 함께 키스에 대한 ‘한나’의 욕망을 지켜보는 과정이 흥미롭다.
김
정광 감독의 <밤을 걷다>는 세상을 떠난 여성 ‘지은’이 생전 연인 ‘중원’의 꿈에 찾아가 밤거리를 걷는 모습을 보여준다. 말하지 못한 이들의 시간은 어떤 연인들의 대화를 엿듣기보다 애틋하고 소중하게 느껴졌다.
이 작품을 보면서 사랑과 동시에 삶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었고, 또 상당부분 공감할 수 있었다. 다른 세 작품에 비해 감성적인 측면이 두드러져 오히려 이질감이 있었던 영화.
이처럼 ‘페르소나’는 다양한 여성상을 개성 있게 보여준다(‘밤을 걷다’는 점, 이지은의 영화배우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특별한 프로젝트로 볼 수 있다.